 |
독서실 내부 | |
|
 |
1인 독서실 | |
독서실 창업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전망이 그렇게 밝지 못하다고 하는 이들도 있고, 그렇게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안정적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괜찮은 아이템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우선, 부정적인 전망을 내비치는 이들은 학생 수의 감소와 공공도서관·학교 도서관 등 대체시설의 신설 및 확충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이는 창업자 입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임에 분명하다. 학생 수는 분명 줄어들고 있고 최신 경쟁시설도 늘어나고 있는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쟁은 창업자 입장에서 피하기 힘든 부분이다. 중요한 것은 경쟁 그 자체가 아니라 경쟁자를 이길 수 있는 능력이다. 일반 독서실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공공 도서관에 비해 불리한 면이 있지만, 고유의 강점도 많다. 무엇보다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려 하는 이들은 고정석을 갖기를 희망한다. 항상 무거운 짐을 들고 학교 도서관이나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들에게 개인 고정석은 분명한 메리트가 있다. 더군다나 될 수 있는대로 짧은 시간 효율적인 결과물을 얻어내려는 사람들은 비용보다 학습능률을 훨씬 더 중요시하는 특성이 있다. 관리만 잘되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학생 수 감소 역시 입지와 여건에 따라 위기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학생이 줄었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지독한(?) 교육열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소수의 자녀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게 요즘 정서이기도 하다. 그리고 실제 독서실을 방문해보면 고등학생만 이 곳을 찾는게 아니다. 독서실 안을 들여다보면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고시생,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중년 등 성인들도 상당히 많다. 단순히 고등학생이 줄어든다고 수요층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실제 스터디뱅크 자양점의 경우 대학생 이상 성인 비중이 70% 이상이다.
독서실 창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강조하는 또 다른 부분은 바로 창업과 관련된 비용이다. 상층부에 들어서는게 일반적인 독서실의 특성상 다른 업종에 비해 투자비가 적게 들어가고 그에 비해 안정적 소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독서실로 안정적 소득을 가져가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규모가 되어야하고 최초 시설비 투자도 일정 부분 이뤄질 필요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외식업종 등에 비해서는 투자금액대가 일반적으로 낮은 편이어서 중소형 투자자들의 투자적 접근에 있어서 부담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독서실 창업 메리트는 여성이나 노년층도 어렵지 않게 운영가능하다는 점이다. 오히려 독서실은 학생관리 외에는 크게 신경 쓸 일이 없는만큼 젊은 층보다 노년층에게 추천되는 업종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큰 이득을 추구하기는 어려워도 비교적 소액으로 크게 힘든 노동력을 취하지 않고도 안정적 운영을 바라볼 수 있다는게 독서실 창업의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수익 외적으로 따라오는 보람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꿈을 찾아오는 많은 학생들의 성공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자부심은 독서실 창업자들에게 알게 모르게 따라오는 큰 매력꺼리 중 하나이다. 독서실을 다닌 이후 명문대학교에 입학한 다음 독서실에 찾아와 감사인사를 전한다거나, 고시에 합격하고 나서 감사선물을 돌리는 이들을 몇 번 접하고 나면 돈을 떠나 직업적인 행복감을 느낄 때가 많다는게 많은 독서실 운영자들의 이야기다.
이번 성공창업인에 소개된 독서실 창업 역시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아이템이다. 특히 적지 않은 일반 독서실이 문을 닫으며 사라진 뒤 독서실 자체를 사양업종으로 칭하는 이들도 있다. 실제 막연히 창업하고 관리에 소흘히 했다가 실패하는 독서실 창업자도 많이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위기는 기회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다. 철저한 준비와 관리능력이 따라준다면 지금도 성공창업 아이템으로 이름을 올릴 수 있는게 독서실 업종이라는게 창업관계자들의 조언이다.
마지막으로 독서실 창업을 마음 먹었다면 특히 입지선정이 매우 중요하므로 전문가와 함께 입지를 고르는데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는게 추천된다. 또, 창업 이후에는 교육과 관련된 입시설명회 개최, 인터넷 강의시설 구비, 스터디모임 연계 및 스터디모임 장소 제공 등 다양한 부분에서 등록생들의 신경을 써주며 관리력을 발휘하는게 바람직하다. |